
전자처방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헬스케어 데이터 중계 플랫폼 기업 레몬헬스케어(대표 홍병진)는 ‘대구 블록체인 기반 전자처방전 응용서비스 개발’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, 이달부터 대구 지역 내 주요 병원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마치고 실제 운영을 시작한다.
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(DIP)이 주관하는 이번 실증 사업은 종이 처방전 대신 사용하는 전자처방전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안전하게 활용하고 보안·이력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서비스 개발 및 실증을 목표로 했다.
현재 레몬헬스케어의 ‘레몬케어’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는 대구·경북 소재 상급·종합병원 중 3곳(칠곡경북대학교병원, 경북대학교병원, 대구파티마병원)을 전자처방전 서비스 실증병원으로 선정했으며, 실증 대상 병원 인근의 약국을 대상으로 전자처방전을 전달·조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. 안정적인 실증 서비스 운영 및 고객 관리 결과를 바탕으로 위해 본격적인 서비스 홍보 및 사업 확산에 나설 예정이다.
전자처방전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환자는 해당 병원의 진료 내역이 있는 경우 각 병원의 환자용 모바일 앱에서 ‘전자처방 전달’ 메뉴를 선택·조회한 후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원하는 전자처방전을 확인, 원하는 약국에 전송 후 약국을 방문하면 약을 받을 수 있다.
이번 사업을 통해 레몬헬스케어가 기보유한 혁신적인 전자처방전 기술 기반으로 국내에 안전한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확산할 수 있게 됐다. 기술적으로는 데이터 기반 전자처방전 전달 시스템을 통해 병원의 처방 내역 및 관련 데이터를 전산화하여 바로 약국에 전송 가능하며, 대구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변조되지 않은 안전한 이력 관리 기술로 중복 처방 등의 위험 요소를 원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.
이 외에도 원천 데이터 기반의 전산 데이터 전송, 팩스 전송, QR코드 전달, 직접 전달 등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 맞춘 선택지 제공이 가능하며, 페이퍼리스 시스템 구현을 통해 불필요한 종이 사용을 줄이는 환경 보호 및 비용 절감 효과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할 만 하다.
내용출처: https://www.dailian.co.kr/news/view/1434077/?sc=Naver
전자처방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헬스케어 데이터 중계 플랫폼 기업 레몬헬스케어(대표 홍병진)는 ‘대구 블록체인 기반 전자처방전 응용서비스 개발’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, 이달부터 대구 지역 내 주요 병원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마치고 실제 운영을 시작한다.
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(DIP)이 주관하는 이번 실증 사업은 종이 처방전 대신 사용하는 전자처방전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안전하게 활용하고 보안·이력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서비스 개발 및 실증을 목표로 했다.
현재 레몬헬스케어의 ‘레몬케어’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는 대구·경북 소재 상급·종합병원 중 3곳(칠곡경북대학교병원, 경북대학교병원, 대구파티마병원)을 전자처방전 서비스 실증병원으로 선정했으며, 실증 대상 병원 인근의 약국을 대상으로 전자처방전을 전달·조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. 안정적인 실증 서비스 운영 및 고객 관리 결과를 바탕으로 위해 본격적인 서비스 홍보 및 사업 확산에 나설 예정이다.
전자처방전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환자는 해당 병원의 진료 내역이 있는 경우 각 병원의 환자용 모바일 앱에서 ‘전자처방 전달’ 메뉴를 선택·조회한 후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원하는 전자처방전을 확인, 원하는 약국에 전송 후 약국을 방문하면 약을 받을 수 있다.
이번 사업을 통해 레몬헬스케어가 기보유한 혁신적인 전자처방전 기술 기반으로 국내에 안전한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확산할 수 있게 됐다. 기술적으로는 데이터 기반 전자처방전 전달 시스템을 통해 병원의 처방 내역 및 관련 데이터를 전산화하여 바로 약국에 전송 가능하며, 대구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변조되지 않은 안전한 이력 관리 기술로 중복 처방 등의 위험 요소를 원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.
이 외에도 원천 데이터 기반의 전산 데이터 전송, 팩스 전송, QR코드 전달, 직접 전달 등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 맞춘 선택지 제공이 가능하며, 페이퍼리스 시스템 구현을 통해 불필요한 종이 사용을 줄이는 환경 보호 및 비용 절감 효과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할 만 하다.
내용출처: https://www.dailian.co.kr/news/view/1434077/?sc=Naver